이밖에 대퇴 이두건, 반 건양근, 슬와건, 장경대와 같은 무릎 주위의 강한 인대들이 급격한 달리기나 운동 등으로 무릎 굴신 운동시 ‘툭’하는 탄발음을 내는 경우가 있다.
특히 대퇴 외측의 장경대 인대가 돌출된 대퇴골 외과 융기에 무릎을 굽힐 때 후방으로 정상 이동되지 못하고 걸릴 때 나타나는 뼈와 인대 사이의 마찰음 등이 통증과 함께 있을 수 있다.
또 무릎 속 인대의 이상 부위 부착 등으로도 탄발음 소리가 날 수 있다.
어른과 달리 소아에서는 외상력이 없고, 통증 호소도 없는 경우가 많아 부모님들도 무관심 하게 지나쳐 특별한 치료를 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아이가 앉고 설 때마다 소리가 나고, 비정상적인 원판형 연골판이 반복 마찰과 자극으로 조기 마모(磨耗)되거나 파열되면 무릎 통증을 유발할 수도 있다.
골성장이 완료되는 만 17세 이후까지 증상이 지속되면 깨지거나 변형된 연골판의 수술적 관절경하 봉합이나 부분절제<그림 2>가 요할 수도 있다.
이 때문에 MRI 등의 촬영 후 확진과 함께 무릎의 과다 굴신 및 쪼그려 앉기, 심한 무릎운동을 제한해 성장에 따른 자연 교정을 기대하거나 성인이 되었을 때 교정할 수 있는 확진 및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 좋다.
'찌릿찌릿' 관절통 완화하는 식사법 5 (0) | 2020.09.20 |
---|---|
갈치구이 맛있게 하는법 황금레시피! (1) | 2020.09.18 |
허리통증 완화운동 (0) | 2020.09.18 |
허리디스크 다리통증완화운동 (0) | 2020.09.18 |
코로나19로 인한 제주도 2차 재난지원금 신청방법 [재난긴급생활지원금] (0) | 2020.09.17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