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행성 각 결막염 및 급성 출혈성 결막염 안내

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유행성 각 결막염 및 급성 출혈성 결막염 안내

‥ 자유게시판

by 토파니 2020. 9. 16. 21:15

본문

 

 

 

 

 

 

 

유행성 결막염의 원인은?


유행성 결막염은 바이러스에 의해 일어나는 눈병으로 원인이 되는 바이러스의 종류에 따라 유행성 각 결막염,

인두결막 열 급성출혈결막염(일명: 아폴로눈병)3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유행성각결막염은 아데노바이러스에 의해 일어나며 직접적인 신체접촉, 매개물, 수영장을 통해서 전염되는데

전염성이 아주 높습니다. 과거에는 여름에만 주로 유행하였는데, 최근에는 연중 내내 환자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인두 결막염은 어린아이에서 흔하게 발생하며 직접적인 신체접촉 이외에 도 감기와 마찬가지로 호흡기를

통하여 전염합니다.


유행성각결막염과 마찬가지로 직접적인 신체접촉, 매개물, 수영장을 통해서 전염되며 전염성이 아주

높습니다.

유행성 결막염의 증상은?


유행성각결막염은 잠복기가 1주일 정도이며, 대부분 두 눈에서 발생합니다.
처음에는 한쪽 눈에 며칠 후 다른 쪽 눈에도 증상이 나타나는데, 두 번째 눈의 증상이 처음 발병한

눈보다 증상이 덜합니다.


눈물,충혈,이물감,눈부심,시력저하등의 증상이 생기며, 귀 앞쪽과 턱 밑에 림프선이 커지기도 합니다.
증상시작 후 3 ~4일 이후에 각막(검은 동자)에 염증이 생기면 증상이 더욱 심해지고, 각막염에 의해

각막에 뿌옇게 혼탁이 생기면 시력이 떨어지게 됩니다.


인두결막염은 주로 아이들에게서 발생하며, 급성결막염과 인두염(목감기)이 같이 발생하는 것이 특징이며,

림프선이 붓고 열이 나게 됩니다.


결막염은 대개 한쪽 눈에서만 나타나며 콧물, 가래 등의 분비물에 의해 전염되며 유행성각결막염에 비해

비교적 가벼운 경과를 가지게 됩니다.
급성출혈결막염은 발병 후 24시간이내에 결막(환자)에 작은 출혈이 생기면서 점점 커져서 결막출혈의 양상을

나타내며 다른 증상은 유행성각결막염과 비슷한데, 회복기간이 보다 짧습니다.

유행성 결막염의 치료는?


2차적인 세균감염을 예방하기 위해서 항생제를 사용하고, 증상이 심할 때는 냉찔질 또는 온찜질, 혈관

수축제,소염제 등으로 증상을 완화하고, 결막에 심한 상처가 남거나 안구와 눈꺼풀이 들어붙는 합병증이

발생 할 것 같은 경우에는 이에 대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대부분의 경우- 급성출혈결막염은 2 ~3,

유행성각결막염은 3 ~4주 이내에 특별한 합병증 없이 치료됩니다.)


세균, 곰팡이, 헤르페스바이러스 등에 의한 결막염 또는 각막염과 같이 눈에 심각한 합병증 및 후유증을

초래하는 질환도 유행성 결막염과 비슷한 증상으로 나타 날 수 있는데,이 경우에 조기에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으면 실명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