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매듭법은 일반적으로 매는 방식에서 3-5,3-6 처럼 한번더 돌려주는 방법입니다. 결과는 2번 매듭법에 의한 결과와 동일합니다. 단점은 한쪽 줄을 두번 돌리게 되므로 처음에 양쪽의 끈 길이를 얼마로 하여야 할지 조정하는 것이 조금 어렵습니다. 익숙해지면 어느정도가 될지 쉽게 가늠할 수 있습니다. 전 습관적으로 이 방법을 사용합니다. 마찬가지로 신발끈의 끝 부분을 조절해야 겠지요...
일반적으로 등산시 등산화끈을 조금 느슨하게 하산시 단단히 매어 주라고 되어 있는데, 사실상 한번 매고 끝까지 산행을 하는 것이 대부분이라서 두 경우를 모두 만족하게 하기란 쉽지 않을것 같다. 그런데 아래와 같이 하면 문제가 해결될것 같다. 먼저 아래 왼쪽 사진과 같이 걸고리가 시작되는 부분까지는 일반적인 방법과 동일하게 맨다. 오르막을 오를때 수준으로 발이 등산화 속에서 놀지 않을 정도의 적당히 조이는 정도이다.
그리고 나서 일차 매듭을 하고, 산행중 신발끈이 당겨지거나 느슨해 지지 않도록 등산화 끈을 교차시킨후 아래 오른쪽 그림과 같이 걸고리까지 등산화 끈을 매어 준다. 걸고리에 매어줄때 사진에는 위에서 아래로 되어 있다. 아래에서 위로 하여도 큰 차이는 없을듯 한데, 한번 시도해 봐야 겠다.. 마지막으로 매듭은 위의 설명한 세가지중 하나를 선택하면 된다.
내 자동차 보험료는 얼마일까 지금 알아 보세요 (0) | 2019.09.30 |
---|---|
생선조림 양념장 만드는법 (0) | 2019.09.29 |
중고자동차 고르는법 꿀팁! (0) | 2019.09.27 |
자동차 보험료 비교견적사이트 계산! (0) | 2019.09.27 |
호박고구마 밤고구마 물고구마 차이! (0) | 2019.09.27 |
댓글 영역